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드레싱부터 소독제까지! 상처 관리에 대한 기본지식 총정리!
선명(善明)
2025. 3. 27.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드레싱 종류와 소독약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드레싱이란?
드레싱은 상처 부위를 덮어 외부 오염원으로부터 보호하고, 적절한 습도와 온도를 유지하여 치유 과정을 돕는 역할을 합니다. 또한, 상처에서 배출되는 체액을 흡수하여 감염 위험을 줄이는 등 상처 관리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드레싱의 선택은 상처의 종류, 위치, 배액 양,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주요 드레싱 종류 및 장단점

거즈 드레싱 (Gauze Dressings)
: 멸균 거즈를 사용하여 상처를 덮는 가장 기본적인 드레싱입니다.
장점
- 저렴하고 다양한 상처에 쉽게 적용 가능함
- 높은 흡수력으로 배액이 많은 상처에 유리함
단점
- 상처 부위의 습도 유지가 어려워 건조해질 위험이 있음
- 한 번 흡수 후 재사용이 어려워 빈번한 교체가 필요함
- 드레싱 자체가 상처에 달라붙어 제거 시 통증이나 2차 손상을 유발할 수 있음
투명 필름 드레싱 (Transparent Film Dressings)
: 얇은 폴리우레탄 필름으로 제작되어 상처를 덮으면서 내부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장점
- 상처 상태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 감염 징후를 조기에 확인 가능함
- 방수 기능이 있어 외부 오염을 효과적으로 차단함
- 유연성이 좋아 움직임이 많은 부위에도 적용하기 용이함
단점
- 높은 배액이 필요한 상처에는 적합하지 않음
- 접착력이 약해질 경우 드레싱 이탈의 위험이 있음
알지네이트 드레싱 (Alginate Dressings)
: 높은 흡수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장점
- 배액이 많은 상처나 화농성 상처에 매우 효과적임
- 상처에서 배출되는 체액을 젤 형태로 전환시켜 보호막을 형성함
단점
- 상처가 건조한 경우에는 사용 부적합
- 제거 시 상처에 부착되어 통증을 유발할 수 있음
폼 드레싱 (Foam Dressings)
: 배액 및 쿠션 효과가 뛰어난 드레싱입니다.
장점
- 뛰어난 흡수력으로 중간 정도의 배액이 있는 상처에 적합함
- 충격 흡수 기능이 있어 환자에게 편안함 제공
- 상처 부위를 일정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하여 치유를 촉진함
단점
- 가격이 다소 높아 비용 부담이 있을 수 있음
- 매우 많은 배액이 있는 상처에는 한계가 있음
하이드로콜로이드 드레싱 (Hydrocolloid Dressings)
: 젤과 같은 성분을 포함하여 상처 부위에 습윤 환경을 제공하는 드레싱입니다.
장점
- 상처 치유에 필요한 습윤 환경을 조성하여 자연 치유를 촉진함
- 드레싱 교체 빈도를 줄여 상처 자극을 최소화함
- 외부 충격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는 동시에 통증을 완화함
단점
- 배액이 많은 상처에는 적합하지 않으며, 감염 징후가 있는 상처에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함
- 드레싱이 두꺼워 상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음
소독제의 종류 및 장단점

상처 관리에서 드레싱과 함께 소독은 필수적인 단계입니다. 소독제는 상처 부위의 미생물을 제거하여 감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알코올 소독
- 장점 : 살균 효과가 뛰어나고, 사용이 간편하며 빠르게 증발하여 잔여물이 남지 않음
- 단점 : 상처 조직에 자극을 줄 수 있고, 지나친 사용 시 건조함을 유발함
과산화수소 소독
- 장점 : 기포 발생을 통해 이물질 제거와 항균 작용을 동시에 수행함
- 단점 : 정상 조직에도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장기간 사용 시 상처 치유를 방해할 수 있음
요오드 계열 소독제 (포비돈 요오드 등)
- 장점 : 광범위 항균 효과가 있어 다양한 미생물에 대응 가능함,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부가 효과가 있을 수 있음
- 단점 : 일부 환자에게 알레르기 반응이나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음, 장기간 사용 시 요오드 축적으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음
클로르헥시딘 소독
- 장점 : 강력한 항균 효과와 함께 잔류 작용을 보여 상처를 오랜 시간 보호함
- 단점 : 일부 환자에서 피부 자극이나 알레르기 반응이 보고됨
드레싱과 소독약물 선택 시 고려사항
- 상처 특성 파악 : 상처의 종류, 위치, 배액량, 감염 위험도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드레싱과 소독제를 선택해야 합니다.
- 환자 상태 : 당뇨병, 면역 저하 등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의 경우 감염 위험이 높으므로, 보다 적극적인 항균 관리가 필요합니다.
- 의료진의 판단 : 드레싱의 종류와 소독 방법은 각 상처의 치유 단계에 맞춰 정기적으로 평가되고, 필요시 변경되어야 합니다.
오늘은 드레싱과 소독약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빠른 회복을 위해 필수적인 드레싱은, 전문의와 상담 후 환자에게 잘 맞는 방식으로 적용하시길 바랍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