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일반인을 위한 잔류태반 설명서! 잔류태반이 무엇인지 알려드립니다!

선명(善明) 2025. 3. 29.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잔류태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잔류태반이란?

 

잔류태반은 출산 후 정상적으로 분리되어 배출되어야 할 태반이 자궁 내에 남아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잔류 태반은 산모에게 심각한 합병증(특히 산후 출혈이나 감염)을 유발할 수 있어, 조기 진단과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주요 원인과 메커니즘

 

비정상적 태반 부착

 

정상적인 임신에서는 태반이 자궁 내막(Decidua)에 적절히 부착되어 출산 시 자연스럽게 분리됩니다. 그러나 이전 제왕절개, 자궁 수술, 또는 자궁 내 감염 등으로 인해 자궁 내막에 흉터나 결함이 발생하면, 태반이 자궁벽에 비정상적으로 깊게 부착될 수 있습니다.

 

  • 태반 유착증(Placenta Accreta) : 태반과 자궁근층이 단단히 붙어 있거나, 태반 분리가 일어나는 해면 탈락막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에 발생. 이 외에도 제왕절개 반흔 부위 위에 착상, 소파수술 후 착상, 전치 태반의 경우에도 발생.

  • 감입태반(Placenta Increta) : 태반이 자궁근층(Myometrium)으로 침투한 경우.

  • 태반관통증(Placenta Percreta) : 태반이 자궁을 완전히 관통하여 주변 장기까지 침범하는 가장 심각한 형태.

 

자궁 수축 부진

 

출산 후 자궁은 강한 수축을 통해 태반을 배출하는데, 자궁 수축이 충분하지 않으면 태반이 완전히 분리되지 않고 자궁 내에 남아 있을 수 있습니다. 과도한 자궁 확장, 산모의 피로, 마취제의 영향 등이 자궁 수축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태반의 불완전한 분리

 

정상적인 분리 과정에서 태반이 부분적으로만 분리되어, 일부 태반 조직이 자궁 내에 남아 있게 되는 경우입니다. 태반과 자궁 내막 사이의 결합이 약하거나, 태반의 분리 과정이 미완성된 경우 잔존 조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잔존된 태반 조직은 시간이 지나면서 감염(세균성 자궁내 감염)이나 지속적인 출혈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기타 요인

 

  • 이전 자궁 수술 및 흉터 조직 : 과거 제왕절개나 자궁 관련 수술 이력으로 인해 자궁벽에 흉터가 형성되면, 태반이 비정상적으로 부착되어 분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태반의 크기 및 위치 : 태반이 비정상적으로 크거나 자궁의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부착될 경우, 정상적인 분리 과정이 방해받을 수 있습니다.

  • 출산 중 기계적 요인 : 출산 과정에서 강한 견인이나 비정상적인 조작이 가해지면 태반이 일부만 분리되어 잔류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특수 상황 : 조기 출산, 다태임신 등 자궁 내 환경이 변화하는 경우에도 태반 분리 과정에 영향을 미쳐 잔류 태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단 및 치료 방법

 

잔류 태반 여부는 보통 산후 초음파 검사를 통해 확인됩니다. 잔존 태반 조직이 확인되면, 산모의 상태와 증상에 따라 추가 검사가 이루어집니다.

 

치료

 

  • 약물 치료 : 자궁 수축을 촉진하는 약물을 사용하여 잔존 태반을 배출시키는 방법이 있습니다.

  • 수동적 제거 : 약물 치료로 효과가 없을 경우, 전문 의료진이 직접 태반 잔류 조직을 제거하는 수동적 방법(manual removal)을 시행합니다.

 

태반이 잔류하는 경우는 주로 비정상적인 태반 부착, 자궁 수축 부진, 불완전한 태반 분리와 같이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 원인은 개별적인 산모의 병력과 출산 상황에 따라 달라지며,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신속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산모의 안전을 위해 매우 중요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잔류태반의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