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살균과 멸균의 차이점을 한 번에 정리했습니다

선명(善明) 2025. 1. 5.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살균과 멸균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살균과 멸균의 차이

 

살균과 멸균은 모두 미생물을 제거하거나 죽이는 과정을 의미하지만, 그 목적에 차이가 있습니다.

 

살균(Disinfection)

 

살균은 환경 표면이나 물체에서 병원성 미생물(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미생물)을 대부분 제거하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과정입니다. 일반적으로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을 제거하지만, 세균의 포자는 완전히 제거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방법

 

  • 화학적 방법 : 알코올, 표백제(차아염소산나트륨), 과산화수소 등
  • 물리적 방법 : 열을 이용한 뜨거운 물이나 증기 소독
  • 일상적인 소독(예: 집안 청소, 손 소독), 의료 환경에서의 기기 소독 등

 

 

멸균(Sterilization)

 

멸균은 모든 형태의 미생물, 세균의 포자까지도 완전히 제거하거나 사멸시키는 과정입니다. 세균, 바이러스, 진균, 기생충, 그리고 그들의 포자까지 모두 제거합니다.

 

 

방법

  • 고온 고압 증기 멸균(오토클레이브) : 121°C에서 15분 이상
  • 가스 멸균 : 에틸렌 옥사이드 등 사용
  • 방사선 멸균 : 감마선, 전자빔 등
  • 의료 기기, 실험 도구, 일부 식품 포장 등 미생물이 전혀 없어야 하는 경우

 

 

요약
구분 살균 (Disinfection)  멸균 (Sterilization)
목적 병원성 미생물 대부분 제거  모든 미생물 완전 제거
범위 세균, 바이러스, 진균 등 세균 포자 포함 모든 미생물
방법  화학적, 물리적 소독  고온, 고압, 가스, 방사선 등 다양한 방법
용도  일상 소독, 의료 기기 소독 수술 기구, 실험 도구 등 멸균 필요 기기
반응형

 

 

병원 기구는 왜 멸균이어야 하나요?

 

병원에서 사용하는 기구는 멸균 과정을 통해 모든 미생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감염 예방

 

  • 교차 감염 방지 : 여러 환자가 동일한 기구를 사용할 경우, 미생물이 남아 있으면 다른 환자에게 전파될 수 있습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환자나 수술을 받는 환자에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수술 부위 감염 : 수술 중 사용하는 기구에 미생물이 남아 있으면 수술 부위에 감염이 발생할 위험이 높아집니다. 수술 후 회복을 지연시키고,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게 만듭니다.

 

환자 안전 확보

 

  • 안전한 치료 제공 : 멸균된 기구 사용은 환자에게 안전한 치료를 제공합니다.

  • 합병증 예방 : 감염 외에도 미생물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이나 기타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법적 및 윤리적 책임

 

  • 의료 법규 준수 : 대부분의 국가에서는 의료 기구의 멸균을 법적으로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 의료 윤리 : 환자에게 해를 끼치지 않겠다는 의료인의 윤리적 의무를 다하기 위해서도 멸균은 필수적입니다.

 

병원 기구는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해야 하는 멸균 과정을 통해 감염을 예방하고, 환자 안전을 보장하며, 법적 및 윤리적 책임을 다할 수 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