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가족을 지키는 필수! 집에서 할 수 있는 상황별 응급처치!!

선명(善明) 2025. 1. 27.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설 명절을 앞두고,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집에서 할 수 있는 응급처치

 

응급 상황에서는 신속하고 적절한 대처가 생명을 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기본적인 응급처치 방법을 숙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집에서 할 수 있는 주요 응급처치 방법을 상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화상 응급처치

 

화상은 뜨거운 액체, 불꽃, 전기, 화학물질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화상의 정도에 따라 응급처치 방법이 달라집니다.

 

1도 화상

 

피부가 빨갛게 변하고 통증이 있습니다. 화상 부위를 흐르는 미지근한(체온보다 차가운) 10-15분간 담급니다. 깨끗한 천이나 거즈로 부위를 덮어줍니다. 통증이 심하다면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2도 화상

 

물집이 생기고 피부가 부풀어 오릅니다. 1도 화상과 동일하게 찬 물로 식힙니다. 깨끗한 거즈로 부위를 덮어줍니다. 물집이 심한 경우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합니다. 물집을 터트리면 감염이 생길 수 있으므로, 되도록 물집을 터트리지 않은 상태에서 병원에 방문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3도 화상

 

피부가 하얗게 변하거나 탄력성을 잃고, 신경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즉시 119에 연락하여 병원으로 가셔야합니다. 화상 부위를 느슨한 천으로 덮어 이송 준비를 합니다.

 

 

 

골절 및 염좌 응급처치

 

 

골절 응급처치

 

심한 통증, 부기, 뼈의 변형, 움직일 수 없는 상태입니다. 환자를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게 합니다. 119에 신고하여  즉시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염좌 응급처치

 

부기, 통증, 관절의 움직임이 제한되는 상태입니다.

 

 

처치 방법(RICE 요법)

 

  • Rest (휴식) : 부상 부위를 사용하지 않고 휴식을 취합니다.
  • Ice (얼음찜질) : 20분간 얼음을 대고, 반복합니다.
  • Compression (압박) : 탄력 붕대를 감아 부기를 줄입니다.
  • Elevation (거상) : 부상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부기를 감소시킵니다.

 

 

출혈 응급처치

 

외상성 출혈

 

상처 부위에서 피가 흘러나오는 상태입니다. 깨끗한 천이나 거즈로 상처 부위를 강하게 압박합니다. 출혈 부위를 심장보다 높게 올려 혈류를 줄입니다. 강한 압박에도 불구하고 출혈이 멈추지 않거나 심한 경우 즉시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내부 출혈

 

복통, 어지러움, 창백, 호흡 곤란이 주된 증상입니다. 환자를 안정을 취하게 하고 즉시 119에 연락하여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호흡곤란 및 기도 폐쇄 응급처치

 

 

호흡곤란

 

숨이 차고, 호흡이 빠르거나 불규칙하며 숨쉬기를 어려워합니다. 환자를 앉은 자세로 안정시킵니다. 가능하면 신선한 공기가 잘 통하는 곳에서 심호흡으로 호흡을 유도합니다. (알레르기 반응이나 천식 등의 원인에 따라 필요한 약물을 투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흡이 계속 어렵다면 즉시 의료기관으로 이송합니다.

 

 

기도 폐쇄 (기도 막힘)

 

환자가 기침하거나 숨을 제대로 쉴 수 없으며, 청색증이 나타납니다. 환자가 기침을 할 수 있으면 계속 기침하도록 합니다. 기침이 멈추거나 심해지면 하임리히 법칙(복부 압박법)을 시행합니다.

 

영유아의 경우 등과 배를 두드리고, 가슴 압박을 실시합니다.

 

 

 

심장마비 응급처치

 

 

심폐소생술(CPR)

 

의식 소실, 호흡 정지, 맥박 없는 상태에서 시행합니다. 환자를 흔들며 크게 소리쳐 의식을 확인합니다. 의식이 없고 호흡이 멈춘 경우 즉시 119에 연락하고, 가습압박을 시행합니다.

 

 

가슴 압박

 

  1. 환자를 단단한 바닥에 눕힙니다.
  2. 한 손을 다른 손 위에 겹쳐 가슴 중앙(흉골)에 위치시킵니다.
  3. 팔을 곧게 펴고 몸무게를 이용해 분당 100-120회의 속도로 약 5-6cm 깊이로 압박합니다.

 

인공호흡

 

  1. 기도가 확보되었으면, 코를 막고 입을 통해 두 번의 인공호흡을 실시합니다.
  2. 흉부가 올라가는지 확인합니다.

 

30회의 가슴 압박과 2회의 인공호흡을 반복합니다. 119 구조대원 도착할 때까지 CPR을 계속합니다.

 

 

화학물질 노출 응급처치

 

눈 접촉

 

눈의 자극, 통증, 발적, 시야 흐림이 나타납니다. 즉시 흐르는 물로 최소 15분 이상 눈을 씻어냅니다. (렌즈가 있는 경우 렌즈를 제거합니다) 눈 세척 이후에도 자극과 통증 등의 증상이 심한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합니다.

 

 

 

응급처치 도구 및 비상용품 준비

 

  • 응급처치 키트 : 거즈, 붕대, 소독제, 핀셋, 가위, 일회용 장갑 등 기본적인 응급처치 용품을 포함합니다.
  • 구급약품 : 진통제, 항히스타민제, 연고 등 필요한 약품을 구비합니다.

 


 

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응급 상황에 대비하기 위해 기본적인 응급처치 방법을 정리해 봤습니다. 집에서 갑작스러운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누구나 당황하고 신속한 대처를 하기 어렵습니다. 사전에 미리 위와 같은 응급처치를 숙지하고 있다면, 위급한 상황에 많은 도움이 되실 겁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