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영양공급부터 감압까지! 비위관의 역할 총 정리!

선명(善明) 2025. 4. 22.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비위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비위관이란?

 

비위관은 코를 통해 식도와 위까지 삽입되는 가늘고 유연한 플라스틱 또는 실리콘 튜브로, 크게 영양공급 및 약물투여, 위장관 감압, 진단 및 치료 목적 등으로 사용됩니다. 일반적으로 단기간 사용하도록 설계되며, 장기간 필요 시에는 위루관(Gastrostomy)이나 공장루관(Jejunostomy)으로 전환을 고려합니다.

 

 

영양공급 및 약물투여

 

  • 삼킴 장애가 있는 환자 : 뇌졸중, 신경계 질환(파킨슨병·중증 근무력증 등) 또는 의식 저하(혼수·중환자실 환자)로 경구 섭취가 불가능하거나 안전하지 않을 때 사용합니다.

  • 수술 후 회복기 : 상부 위장관 재건술 후 일시적 금식이 필요할 때, 정맥영양(TPN) 대신 위장관을 통한 조기 영양 투여가 가능합니다.

  • 소아 및 노인 환자 : 탈수·영양불량 위험이 높은 소아나 노인은 경구 섭취만으로 충분한 칼로리·수분·약물을 공급받기 어려우므로 비위관을 통해 연속 또는 간헐영양 공급합니다.

 

 

위장관 감압 및 흡인

 

  • 장폐색 또는 장마비 : 소장·대장 폐쇄로 인한 위장 내 가스·액체 축적을 방지하여 복부 팽만 및 통증을 경감시킵니다.

  • 수술 전·후 관리 : 마취 중 또는 수술 직후 위 내 내용물이 기도로 흡인(aspiration)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위장관을 비웁니다.

  • 위장관 출혈 : 혈액 및 혈괴(血塊)를 제거하여 출혈 부위를 관찰하거나, 중증 출혈 시 내시경 치료 전 위장관을 청소합니다.

  • 중독 치료 : 독극물(예: 철분, 중금속 등) 과다 섭취 시 위세척(Stomach Lavage) 전 단계로서 위 내용물 일부를 흡인합니다.

 

 

진단적 목적

 

  • 위액 분석 : 위산(pH), 효소(펩신) 농도 측정 또는 균 배양 검체 채취합니다.

  • 약물 흡수 평가 : 위장관 통과 속도나 약물 용해도를 평가하는 연구용 목적으로도 사용합니다.

 

 

비위관 삽입 절차 및 위치 확인

 

  1. 준비 : 환자 앉기 또는 30° 이상 상체 상승, 코 및 인두에 국소 마취제 도포.

  2. 삽입 : 코–비인두–식도–위로 천천히 진행, 삽입 깊이는 “코끝에서 귓불, 귓불에서 흉골 하단까지” 합산한 길이 기준.

  3. 확인
    X선 촬영: 1차적 확인 방법으로, 튜브 끝이 위 내 위치함을 명확히 함.
    청진법: 10–20mL 공기 주입 후 복부 청진기로 ‘뿅’ 소리 확인(보조적 방법).
    pH 테스트 : 위액 흡인 후 pH ≤5.5 확인.

 

 

비위관 관리 및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 이물감·구역감 : 코와 인두 자극으로 환자가 불편감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 비위관 폐색 : 영양제·약물이 굳어 튜브가 막히면 소금물로 세척하거나 튜브를 교환합니다.

  • 위 식도 역류·흡인 폐렴 : 위 내용물이 기도로 역류될 경우 심각한 폐렴 유발 가능합니다.

  • 비위관 위치 이탈 : 지속적 고정(테이핑) 및 정기적 위치 확인 필요합니다.

  • 코·인두 점막 손상, 천공 : 세심한 삽입 기술과 삽입 전 해부학적 이상 유무 확인합니다.

 


 

비위관은 환자의 영양·약물 투여와 위장관 감압, 진단적 검사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필수적인 의료기구입니다. 삽입 후에는 위치 확인과 정기적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최소화해야 하며, 필요 목적이 달성되면 즉시 제거하여 환자의 불편을 줄여야 합니다. 담당 의료진의 지시에 따라 안전하게 사용될 때, 효과적으로 환자를 관리할 수 있습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