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AED를 적용하지 못하는 심장 상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선명(善明) 2025. 4. 28. 09:00
728x90
320x100

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AED를 적용하지 못하는 심장 상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ED의 역할과 작동 원리

 

AED는 심장박동이 멈추었을 때(심정지), 전기 충격을 통해 심장의 정상 리듬을 회복시키는 기기입니다. 내부에 탑재된 센서가 환자의 흉부 전기 신호를 분석하여, “제세동이 필요한리듬인지 아닌지를 자동으로 판단하고, 필요 시 충격을 가합니다.

 

  • 제세동(shock) : 전기 충격으로 심장 근육 전체를 동시에 탈분극시켜, 이후에 심장이 자체적인 정상 전기신호에 따라 다시 뛰도록 유도

  • CPR 보조 : 충격이 불가능한 리듬에서는 흉부압박(심폐소생술)이 생명유지의 핵심 치료

 

 

AED가 ‘충격’을 권장하는 심장리듬

 

AED가 전기 충격을 가하도록 설계된 리듬은 다음 두 가지입니다.

 

심실세동(Ventricular Fibrillation, VF)

 

심장이 미세하게 떨리며(섬유화), 혈액을 펌프질하지 못하는 상태

 

무맥성 심실빈맥(Pulseless Ventricular Tachycardia, pVT)

 

겉보기에는 빠르고 규칙적인 심실 전기신호가 흐르지만, 실제로는 수축이 너무 빠르거나 비효율적이어서 맥박이 잡히지 않는 상태

이 두 리듬은 전기 충격으로 동기화되지 않은 많은 흥분군을 한번에 리셋하여, 정상 리듬이 재유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AED 충격이 불가능하거나 권장되지 않는 리듬

 

아래 리듬에서는 AED()제세동 리듬으로 자동 판정하고, 충격을 권유하지 않습니다.

 

무수축(Asystole, Flatline)

 

  • 전기적 활동이 전혀 없는 상태로, 심장이 완전히 정지된 모습
  • 전기 충격은 효과가 없으며, 즉시 고강도 흉부압박과 약물치료(epinephrine 등)가 우선

 

무맥성 전기활동(Pulseless Electrical Activity, PEA)

 

  • 심전도상 전기 신호는 보이지만, 기계적 수축이 따라오지 않아 맥박이 없는 상태
  • 역시 충격 대신 CPR·약물·원인 교정(가스 교정, 심장 압박궤양 제거 등)에 집중

 

정상 동성 리듬(Normal Sinus Rhythm), 동성 서맥(Sinus Bradycardia), 심방세동(Atrial Fibrillation) 등

 

  • 맥박이 유지되는 리듬 또는 비(非)치명적 부정맥
  • AED는 “충격 불필요”로 판단하며, 전혀 작동하지 않음

 

심장이 아예 신호를 내지 않거나(무수축), 전기신호만 있고 기계적 수축이 없는(PEA) 상태에서는 전기 충격이 도움되지 않습니다. 이 경우 흉부압박·약물 및 원인 교정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왜 일부 리듬은 AED 충격이 효과가 없는가?

 

무수축(Asystole)

 

전기 활동 자체가 없으므로, 전기 충격으로 리셋할 과분극된 심근 세포가 없습니다.

 

무맥성 전기활동(PEA)

 

전기 신호는 있지만 심근이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충격으로 기계적 수축을 유도할 기전이 없습니다.

 

맥박 유지 리듬

 

이미 맥박이 뛰고 있으므로 오히려 심장을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결국 AED가 작동하는 결정적 기준은 충격으로 회복 가능성이 있는 전기적 불안정(심실세동·무맥성 심실빈맥)” 여부입니다.

 

 

비제세동 리듬에서의 최우선 치료

 

  • 고강도 흉부압박(Chest Compressions) : 분당 100120회 속도로 깊이 5~6cm 이상 압박

  • 기도 확보 및 인공호흡 : 30:2 비율로 흉부압박과 인공호흡을 반복

  • 약물 투여
    Epinephrine(에피네프린) : 3~5분마다 1회
    필요 시 아트로핀, 항부정맥제 등

 

AED 사용 전 반드시 의식·호흡·맥박 확인절차를 거치고, AED 음성 안내에 따라 기기에 맡기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우리는 환자 발견 시 CPR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합니다!

728x90
그리드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