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오늘은 질병분류코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
병원에서 진단서를 떼면 질병명 옆에 분류코드가 적혀있습니다.
각종 알파벳과 숫자로 작성되어 있는데, 저도 의무기록 분석하면서 자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오늘은 각 알파벳이 의미하는게 뭔지 알아보겠습니다.
*글 하단부에 질병코드를 검색할 수 있는 글을 첨부해놨습니다.
먼저 한국에서 사용하는 질병코드는 국제 질병 분류 체계인 'ICD'(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Diseases)를 기반으로 합니다.
ICD는 세계보건기구(WHO)에서 개발한 표준이며, 전 세계적으로 질병, 증상, 이상 소견, 사인 등을 분류하는 데 사용됩니다.
이 기록은 보험 청구, 의료 통계, 보건 연구 등에 사용됩니다.
ICD에 있는 각 알파벳 코드는 특정 질병 범주를 나타냅니다.
A, B 코드 : 감염성 및 기생충 질환
A00-A09 : 장 감염
A15-A19 : 결핵
A20-A28 : 일부 인수 공통성 감염
A30-A49 : 기타 세균성 질환
B00-B09 : 바이러스성 피부 및 점막 병변
B15-B19 : 바이러스성 간염
B20-B24 : 인체 면역결핍 바이러스(HIV) 질병
C, D 코드 : 신생물
C00-C97 : 악성 신생물 (암)
D00-D48 : 양성 및 기타 종양
E 코드 : 내분비, 영양 및 대사 질환
E00-E90 : 당뇨병, 갑상선 장애 등
F 코드 : 정신 및 행동 장애
F00-F99 : 우울증, 조현병, 알코올 의존증 등
G 코드 : 신경계통의 질환
G00-G99 : 뇌졸중, 다발성 경화증 등
H 코드 : 눈과 귀의 질환
H00-H59 : 눈의 질환
H60-H95 : 귀의 질환
I 코드 : 순환계 질환
I00-I99 : 심장 질환, 고혈압, 혈관 질환 등
J 코드 : 호흡기계통의 질환
J00-J99 : 천식, 만성 기관지염, 폐렴 등
K 코드 : 소화계통의 질환
K00-K93 : 위염, 간 질환, 담석증 등
L 코드 : 피부 및 피하조직의 질환
L00-L99 : 습진, 건선, 농가진 등
M 코드 : 근골격계 및 결합 조직의 질환
M00-M99 : 관절염, 골다공증, 척추 질환 등
N 코드 : 비뇨생식계통의 질환
N00-N99 : 신장 질환, 전립선 질환, 요로 감염 등
O 코드 : 임신, 출산 및 산후기
O00-O99 : 임신 합병증, 분만 관련 상태 등
P 코드 : 태아 및 신생아기의 특정 상태
P00-P96 : 출생 시 상해, 선천성 이상 등
Q 코드 : 선천성 기형, 변형 및 염색체 이상
Q00-Q99 : 선천성 심장 결함, 다운 증후군 등
R 코드 : 증상, 징후 및 비정상 임상 및 검사소견
R00-R99 : 불명확한 통증, 발열 등
S, T 코드 : 손상, 중독 및 기타 외인성 원인에 의한 결과
*보험 처리할 때 많이 나오는 코드입니다.
S00-T98 : 사고에 의한 상해, 중독 등
U 코드 : 건강 관리에서 사용하기 위해 예비로 할당된 코드
U00-U99 : 특별한 사용 목적을 위해 보류된 코드 범위
V, W, X, Y 코드 : 외부 원인에 의한 사고, 중독 및 기타 결과
V01-Y98 : 교통사고, 자살, 폭력 등의 결과
-
아래 글을 누르시면 질병분류기호(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이용 방법에 대해 나와있습니다.
2024.01.08 - [의료소송 간호사/의료정보] - 질병분류기호를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오늘은 질병코드의 알파벳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크게 어떤식으로 분류되어있는지 훑어봤습니다.
다음에 기회가 된다면 항목마다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의료소송 간호사 > 의료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악 수술의 과정, 수술실 간호사가 알려드립니다. (4) | 2023.12.26 |
---|---|
턱의 구조적 문제로 발생하는 문제와 해결방법 (2) | 2023.12.25 |
몸에 안좋다는 소기름, 어떻게 먹어야 안전할까? (5) | 2023.12.20 |
급성맹장염(Acute appendicitis)과 만성맹장염(Chronic appendicitis)의 모든것 (4) | 2023.12.18 |
탈모는 예방이 중요합니다. (2) | 2023.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