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의료소송 간호사 선명입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jEkXT/btseHnO5qS9/5DQNNeToCAU6H7b23t19gK/img.jpg)
저번 사례에 나온 망막박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이번에는 내용이 좀 많이 어렵습니다.ㅠ
-
망막 박리 (retinal detachment)
우리의 눈의 망막은 크게 두 가지 일을 합니다.
첫째로, 망막이라는 눈 뒤쪽에 있는 구조물에 빛을 모아 맺히게 합니다. 둘째로, 망막이 시각정보를 전기신호로 바꾸어 뇌로 보내주는 것입니다.
망막은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 그 기능을 하게 되는데 서로 떨어질 수 있으며, 어떤 이유에서든 층이 떨어지게 되는 것을 망막 박리라고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yomvI/btseHkxS8rE/Q2L0usgfC9KX3KgkIggV3K/img.jpg)
이렇게 둘이 붙어져있어야 하는 망막이 떨어지는 것이 망막박리입니다.
망막 박리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기게 됩니다.
열공성 망막 박리는 여러 가지 이유로 망막에 구멍(열공)이 생기게 됩니다. 그 구멍으로 눈 안을 채우던 내용물이 들어가 망막의 층을 떨어뜨리게 됩니다.
견인성 망막 박리는 당뇨망막병증, 포도막염 등 망막에 단단한 섬유조직이 생기고 그 조직이 망막을 당겨서 생기게 됩니다.
삼출성 망막 박리는 망막의 순환 기능이 저하되어 구멍이 없이도 망막 사이에 액체가 쌓여 층이 떨어지게 됩니다.
망막 박리는 갑작스러운 시력, 시야장애를 들 수 있습니다.
망막이 떨어진 부위는 시각정보를 뇌로 보낼 수 없게 되기 때문에, 떨어진 부위가 담당하던 시야 범위가 커튼, 검은 구름, 그림자에 가린 것처럼 보이게 됩니다.
우선 망막박리의 범위와 모양을 알고 존재하는 모든 망막열공을 찾아내며, 상세히 파악해야 합니다. 이를 위하여 도상검안경 검사 및 세극등을 이용한 안저검사 등이 시행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wazih/btseHnH1wQp/Beu6mkYWqvlDSGoPnCkV90/img.jpg)
망막 박리는 대부분 즉각적인 수술적 처치가 필요로 합니다. 여러 방법이 있지만 결국 떨어진 망막을 다시 붙여주는 것을 목표로 하게 됩니다.
수술시간은 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경험상 짧게는 1시간에서 길게는 3시간 이상 한 적도 있습니다.
수술적으로 두 층을 다시 붙인 후에 시력이 돌아오는 정도는 망막이 떨어진 정도와 시간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수술 이후의 관리가 정말 중요합니다. 특히 수술 후 1~2주간이 가장 중요하며, 수술 후 2개월까지는 환자에게 상세한 주의사항을 알려 주고 꼭 지키도록 해야 합니다.
망막이 유착되지 않는 경우, 각막 합병증, 시야손상 등이 있습니다.
-
오늘은 망막박리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흔히 발생하는 건 아니지만, 발생 시 시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기에 빠른 조치를 취하시길 바랍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의료소송 간호사 > 의료소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료소송] 남성 질환인 전립선암의 정의와 수술방법 (20) | 2023.05.17 |
---|---|
[의료소송] 전립선암 수술 후 감염성 폐렴으로 사망한 환자 (26) | 2023.05.16 |
[의료소송] 앞이 뿌옇고 반짝거립니다. (백내장편) (14) | 2023.05.14 |
[의료소송] 앞이 뿌옇고 반짝거립니다. (백내장&막망박리) (16) | 2023.05.12 |
[의료소송] 무릎 인공관절 수술, 일부승소사건 (23.05.04 기사) (18) | 2023.05.08 |